MSN으로 전파되는 WMF악성코드 국내 급속 확산

MSN으로 전파되는 WMF악성코드 국내 급속 확산

정보보안업체인 안철수연구소(대표 김철수)는 20일 오전 윈도메타파일(WMF)의 취약점을 공격하는 악성코드가 국내에서 MSN 메신저로 급속 확산됐다고 밝혔다.

이 악성코드는 MSN으로 특정 인터넷 주소(http://www.e??o.i??o/fun/)를 받고 이를 클릭했을 때 나타났다. 보안패치가 된 PC의 경우, www.e??o.com과 e.wmf 파일을 열거나 저장하겠느냐고 묻는 창이 열리고 이때 `열기’ 버튼을 누른 사용자들이 악성코드에 감염되었으며 보안 패치가 안 된 PC에서는 e.wmf 파일이 자동 실행됐다.

안철수연구소는 www.e??o.com 파일이 악성 IRC 봇 변형으로 유포자가 감염된 PC의 정보유출뿐만 아니라 다른 시스템에 대한 공격을 원격조정하는 역할과 함께 MSN 대화 상대 모두에게 인터넷 주소를 자동으로 보내는 기능을 수행했다고 밝혔다. 또 e.wmf는 취약점이 존재하는 파일로 특정 FTP 서버에 접속해 b.exe 파일을 다운로드받는 기능을 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b.exe파일에서는 아무 기능이 발견되지 않았다고 회사측은 덧붙였다.

안철수연구소 시큐리티대응센터는 이날 오전 9시부터 11시까지 2시간동안 총 10건의 신고가 들어왔을 만큼 급속 확산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11시경 문제의 인터넷 주소에 접속이 차단되면서 이 웹사이트를 통한 추가 확산은 없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악성코드 유포자가 다른 웹사이트를 해킹, 같은 일을 반복할 수 있다면서 사용자들의 주의를 당부했다. 실제로 지난 16일에도 메신저로 이번과 다른 특정 인터넷 주소(http://paul????heiro.com/img/info/index.php?pg_id=448481)를 통해 악성코드가 유포된 바 있다.

강은성 안철수연구소 시큐리티대응센터 상무는 “악성코드 유포자는 여러 웹사이트를 옮겨다니며 게릴라성 해킹을 한 후 WMF취약점 공격용 악성코드를 심어놓은 후 많은 사용자가 접속하도록 메신저로 해당 웹사이트 주소를 유포하도록 하고 있다”면서 “일단 사이트가 접속 차단된 상태이지만 언제라도 이와 유사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메신저로 아무 대화 내용 없이 인터넷 주소만 들어온 경우 함부로 클릭하지 말아야 한다” 면서 “최신 윈도 보안 패치를 적용해 위험을 줄이는 한편 감염된 경우 최신 백신으로 진단, 치료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홍석기자@디지털타임스

카테고리: Security | 댓글 남기기

FX9 실제 크기

내 핸드폰이랑 거의 차이가 없다. 아직 많이 테스트는 못해 봤지만 그냥 별다른 조작 없이 간편하게 사용하기에는 딱 좋은것 같다.

들고 다니면서 도촬이나 한번…ㅋㅋ (이 사진은 그동안 잘 사용해온 G3로 찍은 것임.)

카테고리: Life story | 댓글 3개

파나소닉 루믹스 DMC FX9 구입


여러 슬립형 디카들 중에 고르고 골라서 결국 파나소닉 루믹스 DMC FX9 로 결정하고 구입했다.
남대문가서도 가격대를 확인해 봤으나 인터넷에서의 구매가 가장 저렴해서 엇그제 주문해고 오늘 받아봤다. 크기는 내 핸드폰 정도만큼이며, 아직 많이 테스트는 못해봤지만 흔들림 보정 기능이 있어서 그런지 대충 찍어도 깔끔하게 나오는것 같다.

오늘은 출근하느라 테스트를 많이 해보지는 못했고 나중에 자세한 사용후기는 다시 올리도록 하겠다.

카테고리: Life story | 댓글 5개

[정보]보안 뉴스레터(1)

[금주의 이슈]
올해 최대 경계 대상 `제로데이 공격` 꼽아

올해에는 윈도의 보안 패치가 발표되기 전 취약점을 이용해 해킹하는 이른바 `제로데이 공격’에 더욱 관심을 갖고 대비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신종 악성 Code, Patch, 보안위협성 경고]
악성코드 검색 프로그램 난무

인터넷을 돌아다니다 보면 악성코드진단을 무료로 해주겠다는 프로그램들을 많이 접해보셨을 텐데요 하지만 무작정 이런 프로그램들을 믿어서는 안될 것 같습니다.
상당수 프로그램들이 악성코드를 허위로 진단하거나 과장되게 진단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시만텍, MS 윈도 운영체제·아웃룩 “보안 취약” 경고
마이크로소프트(MS)가 새롭게 선보인 MS윈도우 운영체제와 MS 아웃룩이 해킹 공격으로부터 무방비 상태나 다름없다는 경고가 나왔다.

[보안 사고 및 후속 대응]
한국,사이버테러 세계9위

우리나라의 사이버 공격이 조금씩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보건복지부 산하단체 해킹당해…악성코드 유포
“인구보건복지협회 웹사이트 당분간 접속하지 마세요”
보건복지부 산하단체인 인구보건복지협회(옛 대한가족보건복지협회)의 웹사이트(www.ppkf.or.kr)가 13일 해킹을 당해 이곳에 링크된 전국시도지회 홈페이지를 통해 온라인 게임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탈취를 시도하는 트로이목마가 유포된 것으로 확인됐다.

[업체 동향, 제품/서비스 보급동향]
안랩코코넛, 일본 게임업체 HUE와 보안 관제서비스 계약 체결

정보보호 전문업체 안랩코코넛(대표 이정규)은 일본의 유명 게임 퍼블리싱업체인 HUE와 보안 관제서비스 계약을 체결했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계약은 안랩코코넛의 고객사인 한빛소프트(대표 김영만)의 적극적인 추천으로 이뤄졌으며 약 3억원 규모가 될 것으로 보인다.

윈스테크넷 `네트워크 보호시스템` 특허
네트워크 정보보호업체인 윈스테크넷(대표 김대연)은 `네트워크 보호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출원번호 10-2001-0080182)에 관한 기술로 특허를 획득했다고 10일 밝혔다.

[해외/정부 및 기관 동향]
한국 CCRA 회원국 가입「2006년 상반기」예상

지난해에 이어 올해 역시 국내 정보보안 시장의 최대 화두는 단연코 CCRA(공통평가기준상호인정협정) 가입과 국가정보원의 보안성 검토다.
아울러 국가기관의 정보보안 제품 도입과 관련한 개정안이 올해부터 시행된다.

해킹 보험’ 상반기 나온다.
(::피해보상 책임 모든 전자금융거래 업자 가입 의무화::) 이르면 올 상반기 온라인 금융거래 중 발생할 수 있는 해킹 등 피해에 대비, 금융기관들이 가입해야 하는 전자금융업자 배상책 임보험이 나온다. 또 하반기중 화재, 폭발, 붕괴 등 각종 대형사 고로 인한 피해를 보상하는 재난보험도 도입된다.

빌게이츠,서울경찰청에 감사패 전달
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MS) 회장이 지난해 3개 해킹조직을 일망타진한 서울경찰청 사이버범죄수사대에 감사의 뜻을 전해왔다.

카테고리: Security |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