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보안 뉴스레터(5)

[금주의 이슈]
[중국發 해킹 비상·上] 100만 해커들, 한국 ‘호시탐탐’
중국발(發) 해킹으로 한반도 전역에 공습경보가 울려 퍼지고 있다. 지난 해부터 기승을 부리기 시작한 중국발 해킹이 올해 들어 더욱 거세지는 상황이다.

정부, 주민번호 사용 최소화-도용에는 강력 대응
리니지 명의도용 사태가 정부의 발빠른 개인정보 보호정책수립을 위한 모티브로 작용하고 있다. 사태의 심각성과 향후 재발 방지를 위해 문화광광부와 행정자치부, 정보통신부 등이 머리를 맞대고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기에 이르렀다.

[신종 악성 Code, Patch, 보안위협성 경고]
「은행계좌 훔치는」 신종 트로이목마
암호를 훔쳐가는 트로이목마 프로그램이 크게 유행했었다. 이 소프트웨어는 악성 이메일 첨부파일을 열거나 악의적인 웹사이트를 접속한 후 컴퓨터에 설치되곤 한다. 메시지랩(MessageLabs)의 안티바이러스 선임 기술자인 알렉스 쉽(Alex Shipp)에 따르면, 강력한 인증 방법을 채택하는 곳이 늘어나면서 사이버 범죄자들이 수법을 바꾸고 있다고 한다.

당신의 휴대폰은 바이러스로부터 안전한가?
안티 바이러스 프로그램은 윈도우 PC에서는 이미 필요악이나 다름없다. 그리고 이제 이들 안티 바이러스 업체들의 눈길은 모바일 보안으로 향하고 있다. 그러나 모바일 서비스 운영업체들의 생각은 조금 다르다. 이들은 아직 휴대폰이 보안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최적의 디바이스라는 점을 확신하지 못하고 있다.

개인정보 유출 방지 위한 TIP 10
2006년 2월 인터넷 사용자 수천~수만 명의 개인정보가 유출돼 온라인 게임 사이트 회원으로 도용되는 사건이 벌어졌다. 최근 일어난 온라인 게임에서의 명의 도용 사건은 처음은 아니다. 하지만 비단 이번에 알려진 게임 사이트 뿐 아니라 다른 게임업체까지 계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추세라 화두가 되고 있다.

[보안 사고 및 후속 대응]
‘마비노기’도 개인정보 유출피해 수백건
리니지에 이어 250 만명이 회원으로 가입해 있는 온라인 게임 ‘마비노기’ 회원들 중 개인정보 유출로 인해 경제적 피해를 보았다는 신고가 줄을 잇고 있어 또 한번의 파문이 예상된다.

[업체 동향, 제품/서비스 보급동향]
안철수‘트러스가드 3100’ 공안부 인증
안철수연구소(대표 김철수, 이하 안연구소)의 중국법인(법인장 황효현 www.ahn.com.cn)은 최근 웜·스파이웨어 차단 전문 네트워크 보안 장비인 ‘트러스가드 3100’이 동종의 외국 제품으로는 처음으로 중국 공안부 인증을 획득함에 따라 중국 네트워크 보안 시장에 본격 진출한다고 발표했다. 이로써 안연구소는 지난해 첫 제품 출시 직후 국내 네트워크 보안 시장에 안정적으로 자리매김한 것을 발판으로 초기 단계인 중국 네트워크 보안 시장도 주도할 수 있게 됐다.

[해외/정부 및 기관 동향]
인권위, 주민등록번호 오남용 막자!
주민등록번호는 그 자체로 다수의 개인정보를 포함하고 있고, 주민등록번호의 오ㆍ남용 현상은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국가인권위원회는 지난 해 부터 주민등록번호의 오ㆍ남용이 사생활보호와 관련된 주요한 인권문제라고 판단하고 전문가 간담회를 실시해 문제점을 파악했고 이어 대규모 인권상황 실태조사를 해왔다.

카테고리: Security | 댓글 남기기

[건담]ZGMF-X10A Freedom Gundam

처음으로 만들어 본 MG 건담, 드디어 2주만에 완성했다.
그라데이션도 넣어 볼려고 했는데 처음이라 실력이 부족해 생각되로 되지 않아 다시 지워야 하는 시행착오도 있었지만 그래도 다 만들어 놓고 보니 멋있는것 같다. 므흣.. ^^

카테고리: Life story | 댓글 6개

2월의 신부

며칠간 춥던 날씨도 오늘은 따뜻했다. 2월의 신부가 된 후배… 각자 자기의 짝을 찾아 보금자리를 꾸며 가는것 같다. 행복하게 잘살길…

카테고리: Life story | 댓글 2개

무선랜, 100Mbps 이더넷을 뛰어넘다.

머지 않아 모든 네트웍이 무선으로 이루어지는 날도 오지 않을까 싶다.




미국 시간으로 지난 14일, 에어고네트웍스 Airgo Networks사가 이론상 최대 240Mbps의 무선 통신이 가능한 제3세대 True MIMO 칩셋 Ture MIMO Gen 3 를 발표했습니다. 무선이 유선(10/100M 이더넷)의 속도를 뛰어넘은, 최초의 무선 칩셋으로 온갖 매체에서 떠들어대고는 있지만 정작 어떤 기술을 사용하여 이론상 240Mbps의 대역폭에 도달했는지에 대해서는 일언반구도 없는 상황이라 간단하게나마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핵심은 채널본딩(Channel Bonding)

큰 이미지 보기
TureMIMO 작동원리 : 싱글채널에서 두 개 이상의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

Atheros의 슈퍼-G 와는 달리, Airgo의 1, 2세대 True MIMO칩셋은 채널본딩이 아닌 진정한 MIMO 기술(총 3개의 RF칩과 3개의 안테나로 MIMO 클라이언트와의 통신에 송신용 2개 수신용으로 3개를 사용)을 통해 기존 54Mbps의 두 배인 108Mbps의 무선 대역폭을 실현하였습니다. 덕분에 슈퍼-G 처럼 108M 모드에서의 채널 제한도 없으며 기존 802.11a/b/g 클라이언트와의 호환성도 좋은 편입니다. 3세대 True MIMO 칩셋 역시 이러한 1, 2세대 Ture MIMO의 특성을 물려받아 표준 IEEE 802.11a/b/g 규격과 Airgo사의 기존 MIMO칩셋들과 호환은 물론, 채널본딩의 다른 명칭인 ACE(Adaptive Channel Expansion)기술을 더하여 환경에 따라 20MHz에서 40MHz로의 채널 대역폭(Bandwidth) 조절을 통해 (이론상) 최고 240Mbps의 전송속도를 실현하였습니다.(하단 스펙 참조)

큰 이미지 보기
TrueMIMO Gen 3의 핵심인 ACE(Adaptive Channel Expansion)

채널 대역폭이 40MHz로 확장될 경우, 이론상 최대 240Mbps, 실제 TCP/IP 기반 네트워크에서 120Mbps 이상의 통신이 가능합니다. 물론 현시점에서는 전파법상 하나의 채널이 40MHz의 대역폭을 이용할 수는 없지만, Airgo사에 따르면 3세대 Ture MIMO 칩셋은 20MHz의 대역폭에서도 이론상 최대 126Mbps, 실제 사용시 60~70Mbps(TCP/IP), 100Mbps(UDP)에 가까운 속도로 통신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또한 현재 표준화 작업중인 IEEE 802.11n 규격에 40MHz 대역폭을 사용하는 채널본딩 기술이 옵션으로서 검토되고 있으므로 아마 채널당 40MHz의 대역폭을 사용하는 부분은 크게 문제가 되지 않을 듯 보입니다. 이처럼 40MHz 채널 대역폭을 사용할 경우, 기존 MIMO 기술에 의한 2배, 그리고 채널폭에 의한 2배, 2×2 단순 계산으로도 기존 54Mbps 규격의 4배의 속도를 얻을 수 있습니다.

기존 채널본딩 기술의 문제점은? (관련기사 : 에더로스의 슈퍼-G 무엇이 문제인가?)

큰 이미지 보기
인근 채널에 심각한 간섭을 일으키는 기존 채널본딩 기술

이미 출시된 40MHz 채널 대역폭을 사용하는 – Atheros 슈퍼-G와 같은 – 타사 칩셋들의 채널중첩이 중심 채널인 6번에 한정되어 이루어지기 때문에 주변의 나머지 채널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것과 달리, 3세대 True MIMO칩셋은 고도의 필터링 기술을 이용하여 채널 본딩으로 2개의 채널을 중첩하더라도 나머지 채널에 간섭이 일으키지 않아 또 하나의 채널을 그대로 쓸 수 있습니다. 또한 항상 채널본딩을 통해 40MHz의 채널 대역폭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채널이 혼잡한 경우에는 20MHz 대역폭의 싱글 채널을 이용하게 됩니다.

큰 이미지 보기
2세대와 3세대 TrueMIMO 칩셋의 차이

이외에 칩의 집적화로 1세대 TureMIMO 칩셋의 4개의 칩 구성에서 3개의 칩 구성으로 바뀌었다는 점은 눈여겨 볼 필요가 있습니다. 이는 곧 칩셋 제조 원가와 효율적인 전력 소모를 의미하게 되겠죠. 또한 RF 모듈이 차지하는 면적을 절반가량 줄인 덕분에 기존의 액세스 포인트나 PC카드 방식 무선랜카드 이외에 miniPCI 나 소형 USB 무선랜카드 등 플랫폼에 제한없이 다양한 제품에서 Airgo TrueMIMO 기술을 풀스펙으로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무선 기술상의 획기적인 발전

어떤 제조사가 어떤 기술을 사용했든간에, 기존 100BASE-T 이더넷 인터페이스의 속도를 뛰어넘는 넘은 최초의 칩셋인 Ture MIMO Gen3 는 “100년 동안 이어져온 과학적 사고를 뒤집어 놓았으며 무선이 유선보다 빠를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함으로써 과학적 이정표를 세웠다”는 Airgo사의 CEO 그렉 라일리의 말처럼^^; 무선 기술상 대단히 획기적인 발전으로 생각해도 좋을 듯 합니다. 이변이 없는 한, 엔드유저 제품으로 100Mbps 이상의 무선 대역폭을 지원하는 최초의 무선랜 제품 역시 이 제3세대 True MIMO칩셋을 사용한 제품일거라는게 필자의 판단입니다.

큰 이미지 보기
2세대 TrueMIMO 칩셋
큰 이미지 보기
링크시스 WRT54GX v1.0

큰 이미지 보기
넷기어 WGM124 라우터와 SOHOWare의 기업용 제품
큰 이미지 보기
최초의 True MIMO 제품인 벨킨 Pre-N 제품군

큰 이미지 보기
3세대 TureMIMO 칩셋

3세대 True MIMO 칩셋의 의미는 비단 빠른 속도 뿐만이 아닙니다. 보다 집적화된 이 칩셋을 통해 가정내에 있는 기기들의 무선화가 한걸음 더 진전될 것으로 보이며 앞으로 좀 더 소형화된다면 MIMO칩셋이 탑재된 휴대전화의 출시 가능성 역시 배제할 수 없습니다. 현재 True MIMO Gen3 칩셋은 일부 파트너 기업용으로만 샘플을 출하하고 있으며 이 칩셋을 사용한 엔드유저 제품의 발매는 올 4/4분기 후반이 될거라 예상됩니다. 물론 이제 1세대 True MIMO 제품들이 출시되며 MIMO에 대해 기지개를 펴기 시작한 국내 무선랜 시장에서 3세대 칩셋의 제품을 기대하는 건 너무 앞서가는 것이겠죠? 다만 칩셋의 제조 비용 감소(Airgo사에 따르면 15%)로 1세대 TrueMIMO 칩셋을 사용한 제품 보다는 부담없는 가격대에 만나볼 수 있을거라 기대해 봅니다.

호환성은?

현재 Airgo TureMIMO를 사용한 무선랜 제품의 구입을 고려하는 사용자들 중에는 앞으로 IEEE 802.11n 규격과의 호환을 고민하는 분이 많을거라 봅니다. 아직까지 802.11n의 예비표준(draft 1.0)이 나와 있지 않은 상황이라 호환성 대해서는 장담할 수 없지만, Airgo사는 현재 MIMO 칩셋의 리더라 해도 과언이 아니며 앞으로 802.11n의 표준화 작업이 완료되었을 때에도 곧바로 802.11n 칩셋을 제공할 수 있는 (많지 않은)제조사중 하나일 것만은 확실합니다. 또한 표준화된 802.11n 규격의 칩셋이 발표되더라도 기존 제품들과 완전한 호환성을 유지하며 기존의 유저를 소중히 하는 마음으로 제품을 진화시켜 나가는 것이 Airgo사의 모토이자 그룹이념이라고 하니, 앞으로 표준화될 802.11n과의 호환에 대해서는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을 듯 보입니다.


True MIMO Gen 3(AGN300) 기술스펙

지원인터페이스 CardBus(PC Card 7.1), Mini PCI , PCI 2.2, USB 2.0
주파수대역 2.400 – 2.485 GHz
4.900 – 5.950 GHz
네트워크 표준 IEEE 802.11a, IEEE 802.11b, IEEE 802.11g
프로토콜 OFDM BPSK, QPSK, 16 and 64 QAM
DSSS DBPSK, DQPSK, CCK
전송속도 802.11b: 1, 2, 5.5, 11 Mbps
802.11a: 6, 9, 12, 18, 24, 36, 48, 54 Mbps
802.11g: 1, 2, 5.5, 6, 9, 11, 12, 18, 24, 36, 48, 54 Mbps
Airgo True MIMO: 20 MHz Channel–24, 36, 40, 42, 48, 72, 80, 84, 96, 108, 120, 126 Mbps.
   40 MHz Adaptive Channel Expansion–48, 72, 80, 84, 96, 144, 160, 168, 192, 216, 240 Mbps
작동환경 온도 : 0˚C ~ 60˚C, 습도 : 15% ~ 95%
보안기능 인증(Authentication) WPA-Personal/Enterprise, 802.11i/WPA2-Personal/Enterprise
암호화(Encryption) 64 bit WEP, 128 bit WEP, TKIP
QoS WMM & WMM-SA

출처: http://www.enjoywireless.com/contents/read.html?cate_id=001003&ckind=column&pkind=999&seq=2569&no=0

카테고리: Etc | 댓글 남기기